Portfolio
첨단소재
핵심 투자 영역 및 현황
-
반도체 소재
- 실리콘 Wafer (300mm, 200mm)
- 특수가스 (NF3, Si 系, 식각가스 등)
- Bulk Gas (N2, CO2 등)
- Photo 소재 등
-
배터리 소재
- 동박
- 차세대 Si 음극재
- 차세대 Li-Metal 배터리
-
EV SCM
- 150mm SiC Wafer
- SiC 전력반도체
- 초고속 EV충전기
투자 포트폴리오 현황
’15년 이후 경영권 인수 9건, Global JV 4건, 지분투자 5건 실행
SK Inc. 첨단소재
-
경영권 인수
-
SK Inc. 머티리얼즈 CIC
-
경영권 인수
-
SK스페셜티 (특수가스)
- 100%
-
-
경영권 인수
-
SK머티리얼즈
에어플러스 (산업가스) - 100%
-
- Global
-
SK트리켐 (프리커서)
- 65%
-
- Global
-
SK쇼와덴코 (식각가스)
- 51%
-
- 경영권 인수
-
SK머티리얼즈
퍼포먼스 (Photo 소재) - 100%
-
- Global
-
SK머티리얼즈
JNC (OLED 소재) - 51%
-
- 경영권 인수
-
SK머티리얼즈
리뉴텍 (탄산가스) - 80%
-
- Global
-
SK머티리얼즈
Group14 (Si 음극재) - 75%
-
- 지분 투자
-
韓 LTCAM社 (Wet Chem)
- 33%
-
- 지분 투자
-
美 Group14社 (Si 음극재)
- 10%
-
-
-
경영권 인수
-
SK 실트론 (Si Wafer)
- 51%
- 경영권 인수
-
SK실트론 CSS (SiC Wafer)
- 100%
-
- 경영권 인수
-
韓 테라온社 (방열소재)
- 81%
-
-
- 경영권 인수
-
YPTX (전력반도체)
- 95%
-
- 경영권 인수
-
SK 시그넷 (EV 충전기)
- 51%
-
- 지분 투자
-
Solid Energy (Li Metal 음극재)
- 12%
-
- 지분 투자
-
Wason (동박)
- 30%
-
투자 성과
SK Inc.
투자지분가치 1)
-
~1조
- 증가
-
7조
- 매출 2)
- 24種
- 0.5조
- 74種
- 3.3조
- EBITDA
- 24種
- 0.2조
- 74種
- 1.2조
매출 6.6X 증가
EBITDA 6.0X 증가
- 1) SK Inc. 투자지분가치 : 직접 보유 지분을 반영한 Net Asset Value
- 2) SK Inc. 보유 지분율 반영
’21년 주요 재무 실적 (단위: 억원)
-
SK Inc.
머티리얼즈 CIC- 매출
(YOY +25%)
11,894 - EBITDA
(YOY +19%)
4,270
- 매출
-
SK 실트론
- 매출
(YOY +9%)
18,274 - EBITDA
(YOY +9%)
6,581
- 매출
-
Wason
- 매출
(YOY +123%)
11,544 - EBITDA
(YOY +65%)
2,035
- 매출
Green
-
Energy Transition (’25년까지 9.2조원 투자)
- 수소·연료전지, SMR, Biofuel, 에너지 솔루션 등
-
수소 연료전지 전문기업 美 Plug Power 지분 투자 통한
최대 주주 지위 확보 -
美 플라즈마 기술업체 Monolith 투자 통한 청록수소
Portfolio 선점 -
美 소듐냉각고속로 설계업체 TerraPower 투자 통한
脫탄소 기저 발전원 SMR 사업 진입 -
美 SiC Circuit Breaker 기업인 Atom Power 인수를 통한
에너지솔루션 플랫폼 핵심 기술 확보
-
Sustainable Food (’25년까지 0.3조원 투자)
- 식물성 대체육, 발효 유단백질,
Cell-Based Seafood 등 - 중국 최대 전문 식품 유통 사업자 Joyvio 투자
- Global Leading 발효 유단백질 기업 Perfect Day 투자
- 미생물 기반 대체 단백질 기술 기업 Nature Fynd 투자
- 유럽 식물성 대체육 선도 기업 Meatless Farm 투자
- 美 Cell-Based Seafood 기업 Wild Type 투자
- 중국 內 지속가능식품 투자 위한 Joyvio와의 공동 Fund 참여
- 식물성 대체육, 발효 유단백질,
-
Clean Solution (’25년까지 4.0조원 투자)
- 오염·폐기물처리, Waste-to-X, Recycling
-
美 Waste-to-Fuel 기술 기업 Fulcrum Bioenergy 투자
통한 저탄소 합성원유 및 항공유 사업 진입 -
국내·외 다양한 Biofuel 및 Biomass 생산 기술 및
사업화 기반 확보로 기존 화석연료의 탄소저감 가속화 -
혁신적 Re·Upcycling 기술 확보를 통한 Waste
감축 및 Circular Economy 가속화
-
Carbon Mgmt. (’25년까지 0.6조원 투자)
- Capture, Storage, Utilization, 탄소배출권
-
혁신적 CCUS 기술 및 Infra 투자를 통한 Carbon
Mgmt. 산업 Value Chain 내 거점 마련 -
통합적 ‘CCUS as a Service’ 솔루션 제공 위한
Up/Mid/Downstream 통합 및 Bolt-On -
산림 조림/보호/복원 등 자발적 탄소배출권 관련
Project 개발 및 측정, 거래 관련 자산 투자
Bio
CDMO 사업
견조한 합성 사업의 성장을 기반으로
고성장 CGT 사업으로의 성공적 Portfolio 확장
· 고성장 CGT 사업의 선제적 투자 : Yposkesi(프랑스, ‘21.3), CBM(미국, ‘21.12)
- Core Business
합성 CDMO
글로벌 생산 및 운영 능력,
장기계약 기반의
견조한 Pipeline 합성 분야
Global Top-tier Player - 더하기
- Growth Driver
바이오 CDMO
CGT 산업의 폭발적 성장,
혁신 바이오 기업과의
파트너십 미래 성장동력
제약 사업
차세대 기술 투자를 통한 Portfolio 강화 및
바이오 신약 시장으로의 확장 계획
- 차세대 기술/혁신 신약개발 투자 :
-
GI Innovation(한국, ‘21), Roivant(미국, ‘21), Proteovant(미국, ’20),
Hummingbird Bioscience(싱가포르, ‘20), Standigm(한국, ’19) 등
향후 바이오 신약 사업(연간 10% 이상 성장 전망) 진입을 통해
성장 Portfolio 확대 목표
Digital
- DT 핵심 기술
- AI & ML
- 글로벌 No. 1 AI 모델 개발 자동화(autoML) 플랫폼 Datarobot 투자
- 독보적인 Hybrid ML로 디지털 트윈을 실현하는 제조 AI 기업 Geminus 투자
- BlockChain
- NFT 전용 네트워크 업체 Palm 투자
- 블록체인 생태계를 확장하는 업계 선도 A4X 투자
- 자율주행 & Robotics
- 글로벌 선도 고정밀 GPS 기술 업체 Swift Navigation 투자
- New 플랫폼
- Mobility
- 국내 1위 카셰어링 플랫폼 쏘카 투자
- 미국 1위 P2P(Person-to-person) 카셰어링 플랫폼 Turo 투자
- 동남아 1위 Ride Hailing 플랫폼 Grab 투자
- 말레이시아 카셰어링 플랫폼 SMM/Trevo 설립 및 시장 1위 지위 확보, 인도네시아 등 타 동남아 지역 확장 중
- EV 충전
- 국내 선도 EV 충전 플랫폼 소프트베리, TBU 투자
- Digital 인프라
- Data Center
- Pan-Asia 선도 Hyperscale DC 운영사 Chindata 투자
- e-Commerce 인프라
- APAC 최대 자산운용사ESR Cayman 투자
(AUM $140bn 이상) - 국내 최초 LNG 냉열 기반 친환경 콜드체인 업체 한국초저온 투자